본문 바로가기
과학 식물 생물 천체 공학 수학

8월에 심는 작물 종류, 파종시기

by sk2nd 2025. 7. 15.
반응형

8월에 심는 작물 종류와 파종 시기 완벽 가이드

가을 수확을 목표로 8월에 파종하는 일은 한 해 텃밭 농사의 성패를 가늠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8월은 입추(立秋)를 기점으로 낮 기온은 여전히 높지만 일조 시간이 조금씩 짧아지며, 밤 기온이 내려가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김장채소와 월동채소의 초세(初勢)를 길러 주는 최적의 조건이 되지만, 동시에 고온다습‧폭우‧해충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과제도 안겨 줍니다.

8월에 심는 작물 종류, 파종시기

여기서는 농촌진흥청 ‘텃밭작물 가을재배 캘린더’와 최근 도시농부용 지침서를 토대로, 8월 중 파종·이식이 가능한 대표 8월에 심는 작물 15종의 재배 포인트, 권장 8월에 심는 작물 파종 시기, 품종 선택 및 병해충 관리 팁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8월에 심는 작물 잎채소 종류

상추 (Lactuca sativa)

  • 생물 분류
    • 계: 식물계 Plantae
    • 문: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 강: 진정쌍떡잎식물강 Magnoliopsida
    • 목: 국화목 Asterales
    • 과: 국화과 Asteraceae
    • 속: 상추속 Lactuca
    • 종: L. sativa
  • 파종 시기
    • 중부지방: 8월 상순~중순 직접 파종 또는 육묘 후 20일 내 정식
    • 남부지방: 8월 중순~하순, 고온기 파종 때는 차광망(40%) 활용
  • 재배 포인트
    1. 20 ℃ 전후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으므로 파종 후 흙 덮기를 0.5 cm 이하로 얕게 한다.
    2. 생육 초기 고온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아침 관수, 오후 차광을 병행한다.
    3. 인편(잎)이 4~5매 전개되면 웃거름 1회(질소 위주)를 주고, 25~35 일 차에 첫 수확을 한다.
  • 주요 병해충: 노균병·담배가루이(끈끈이 트랩, 황색 점착판 설치).

케일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 생물 분류
    • 계: Plantae
    • 문: Magnoliophyta
    • 강: Magnoliopsida
    • 목: Brassicales
    • 과: 배추과 Brassicaceae
    • 속: 배추속 Brassica
    • 종/변종: B. oleracea var. acephala
  • 파종 시기: 8월 상순~중순 직접 파종 후 30 일 내 본밭 정식(모종 높이 12 cm 이상).
  • 재배 포인트
    1. 두둑 90 cm, 포기 간격 30 cm.
    2. 줄비료 10a당 퇴비 1,200 kg, 질소·인산·가리를 1:1:1.2 비율로 시비.
    3. 고온성 애벌레(배추흰나비 유충) 예방을 위해 부직포 보온 현가망 설치.
  • 수확: 정식 후 60 일경부터 바닥 잎을 순차적으로 뜯어낸다.

콜라비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 생물 분류: 배추속 변종
  • 파종 시기: 8월 하순~9월 상순 (중·남부지 기준)
  • 재배 포인트
    • 지상경(球) 비대 전까지 수분 스트레스가 없도록 주 2회 관수
    • 부패병 예방을 위해 석회보르도액 500배액 잎·줄기 살포(10 일 간격)

김장채소 & 결구채소 부문

김장배추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 김장배추 파종 시기
    • 중부지방 파종 시기: 8월 초~중순 육묘, 8월 하순~9월 초 정식
    • 남부지방 파종 시기: 8월 중순~하순 육묘, 9월 초~중순 정식
  • 재배 포인트
    1. 모종기 고온 대비: 차광망·미스트 분무로 균일 발아 유도.
    2. 정식 직후 살수(살수차 또는 스프링클러)로 활착률 제고.
    3. 균일 결구를 위해 질소 과시비 자제(총 질소량 10a당 10 kg 이하).
  • 병해충 트랩: 모종반부터 잿빛곰팡이·뿌리혹병 예방 약제 적기 살포.

양배추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 파종 시기: 8월 중·하순 모종 파종 → 9월 중순 정식
  • 결구 촉진: 생육 후반 온도 15 ℃ 이하가 유지되면 단단한 결구 형성.
  • 특이사항: 점적관수 사용 시 흙 얼룩반점병 발생률 30% 감소.

브라씨카 특수 채소 부문

브로콜리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 파종 시기: 8월 상순 육묘, 9월 상~중순 정식
  • 재배 포인트
    • 화뢰 형성기(정식 후 30 일) 평균 18 ℃ 전후 유지.
    • 고온 장해(이중화두·잎꽃이) 방지를 위해 주야 온도 차 6 ℃ 이상 확보.

(Brassica juncea)

  • 파종 시기: 8월 중순~하순 직파, 15 일 후 첫 솎음
  • 재배 포인트: 잎 6매 단계부터 잎마름병 예방 Bordeaux 액 살포.

뿌리채소 부문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 파종 시기: 8월 중순~9월 상순(김장 무 기준)
  • 토양 관리: pH 6.5~7.0, 유기물 20 t/ha 퇴비 시용.
  • 병해충: 뿌리혹병 저항성 품종 ‘청명’ 등 권장.

당근 (Daucus carota subsp. sativus)

  • 파종 시기: 8월 상순~중순 직파, 발아 소요 10 일
  • 발아 조건: 토양 온도 18 ℃, 수분 충분 시 85 % 이상 발아.
  • 추비: 3주 간격 소량, 총 질소량 10a당 6 kg.

시금치 및 월동채소 부문

시금치(가을) (Spinacia oleracea)

  • 파종 시기:8월 하순 ~ 9월 초 직파 → 10 ~ 11월 수확.
  • 재배 포인트:
    • 고온기 발아 억제를 위해 파종 후 즉시 차광(50%)·관수.
    • 3주 내 진딧물 급증 시 유기 인계 살충제 선택 살포.

시금치(월동)

  • 파종 시기: 9월 하순~10월 초, 저온기 잎 10매 확보 후 월동.
  • 보온: 겨울 전 부직포 2중 피복, 2월 중순 해체.

구근·마늘·쪽파 부문

대파 (Allium fistulosum)

  • 파종 시기: 8월 상순 묘대 파종, 9월 중순 이식
  • 보식: 모종 속아내기 후 포기 당 2주식(섬유근 발달 촉진)
  • 수확: 파뿌리삭 건조 시기(11월~翌1월) 즈음 순차 수확.

양파(월동계) (Allium cepa)

  • 파종 시기: 8월 하순~9월 초 모판 파종 → 10월 하순 정식
  • 특징: 추위에 강한 만생종 ‘만추황’을 중부 내륙 지역에 권장.

쪽파 (Allium odorum)

  • 파종 시기: 8월 중순 구근 파종, 45 일 이후 첫 잎 수확 가능
  • 관리 팁: 배수가 나쁜 토양이라면 이랑 높이 20 cm 이상 확보.

마늘 (Allium sativum)

  • 파종 시기: 8월 말~9월 중순 쪽(瓣) 파종 후 부직포 피복.
  • 월동 전 관리: 10월 중 가을비에 과습되지 않도록 이랑 방향을 남북으로 잡아 햇볕·통풍 확보.

8월 파종 성공률을 높이는 실천 TIP

  1. 고온·폭우 대비
    • 폭우 후 침수 방지를 위해 두둑 높이를 15 cm 이상 확보, 배수로 주 1회 재정비.
    • 기습 폭우 뒤 토양 pH 급변을 막기 위해 유산칼슘 20 kg/10a 살포.
  2. 차광·통풍 관리
    • 파종 후 2주간은 40~50 % 차광망을 설치해 직사광선과 고온 스트레스를 동시에 완충.
    • 차광망은 밤낮 기온이 25/18 ℃ 이하로 내려가는 시점(9월 상~중순)에 단계 해체.
  3. 병해충 종합 방제
    • 'BT제'와 '천연 피레트린'을 번갈아 사용해 인듀스 레지스턴스(저항성) 지연.
    • 잔류성 낮은 구리제 살균제를 파종 한 달 만에 1회, 이후 14 일 간격 2~3회.
  4. 토양·양분 관리
    • 줄기 작물(대파·브라씨카류)은 칼륨·붕소 결핍에 민감하므로, 파종 전 칼륨 10a당 8 kg, 붕소 0.8 kg 시용.
    • 생육 중기 밑거름만으로도 생육이 우수하면 웃거름 투입량을 30 % 감액해 연작 피해를 최소화한다.

결론

8월은 더위가 남아 있지만 가을·월동 채소의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결정적 기회입니다. 상추·시금치 같은 잎채소는 빠른 회전으로 텃밭 활용도를 높여 주고, 배추·무·대파·마늘 등 김장채소는 겨울철 식탁을 풍성하게 만듭니다. 파종 시기는 ‘지역별 기후 편차’·‘품종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차광·배수·병해충 같은 초기 관리가 뒷받침되어야만 고품질 수확으로 이어집니다. 본 가이드가 8월 파종 일정표 작성과 품종 선택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