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식물 생물 천체 공학 수학

고추 탄저병 예방법, 농약

by sk5th 2025. 7. 29.
반응형

고추 탄저병 예방법, 농약, 치료제

고추 탄저병은 장마·집중호우·고온다습 환경에서 폭발적으로 확산되는 대표적 과실병입니다. 감염되면 과실 표면에 둥글고 움푹 파인 갈색 병반이 생기고, 동심원 무늬와 살구색 분생포자 덩어리(분홍·살구색 점액질)가 보입니다. 진행되면 과실이 급속히 물러 떨어지고 상품성이 상실됩니다.

고추 탄저병 주요 원인은 Colletotrichum 속 곰팡이로, 단일 종이 아닌 복수 종 복합군(예: C. acutatum species complex, C. gloeosporioides complex, C. scovillei 등)으로 알려져 있어 약제 저항성 관리와 예방 중심의 통합방제가 핵심입니다.


고추 탄저병 병원체와 전염 경로 이해하기

  • 고추 탄저병 병원체: Colletotrichum spp. (무성세대), 다습기 선호.
  • 잠복·재감염: 병든 과실, 낙과, 줄기·잎의 상처부, 플라스틱 멀칭 틈, 지표의 감염 잔재물에서 분생포자가 비산·비말로 전파.
  • 전염 트리거: 장시간의 엽·과실 표면 수막 + 24-30℃의 온도 범위.
  • 잠복 감염: 착과 초기에 잠복했다가 수확기에 증상화되는 경우가 잦아 ‘보이기 전에 미리’가 원칙입니다.

고추 탄저병 증상 체크리스트

  • 과실: 동심원형의 움푹 파인 갈색 병반, 가장자리는 진한 갈색, 중심부는 연갈색. 습윤 시 분홍·살구색 포자 점액.
  • 잎: 작은 갈반에서 시작해 가장자리가 퍼석해지며 탈락.
  • 가지·꼭지: 미세한 병반에서 갈변·수침화.
  • 구별 포인트: 탄저병은 병반이 깊게 패이고 링 무늬가 뚜렷합니다. 역병은 수침성으로 번지며 흰 곰팡이는 덜 보입니다.

통합병해관리(IPM) 전략 개요

  • 예방 60% + 위생 25% + 약제 15%의 비중으로 설계합니다.
  • ‘강우 전 살포’와 ‘상처 관리’에 투자하면 방제 효율이 체감상 2배 이상 올라갑니다.
  • 단일 약제 반복은 금물 - FRAC 코드 교대, 혼합, 다자기작(멀티사이트) 보강이 기본입니다.

포장 설계·재배 단계의 고추 탄저병 예방법

배치·하우스 설계

  • 두둑과 배수로 설계: 두둑을 높이고 배수로를 확보해 포장 내 정체수 제거.
  • 비가림·터널: 노지라도 간이 비가림을 활용하면 ‘장시간 수막’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 점적관수: 살수관수 대신 점적으로 전환해 과실 표면 수막 형성 억제.
  • 식재 밀도: 통풍 확보를 위해 과밀 식재 금지. 잎·과실이 겹치지 않도록 유인·적심 병행.

위생·소독

  • 병든 과실·낙엽·낙과 즉시 수거 후 반출 폐기.
  • 도구 소독: 가위·칼은 70% 알코올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희석액으로 주기적 소독.
  • 재배복·장갑 구분: 병든 구역 작업 후 바로 건전 구역으로 이동하지 않기.

토양·잔재물 관리

  • 작기 종료 즉시 잔재물 반출 및 태움·깊이 묻기.
  • 윤작 2년 이상: 잡곡·곡류 등 비기주 작물과 돌려짓기.

생리·영양 관리 팁

  • 질소 과다 시 연약조직 증가로 감염 창구 확대 - 적정 질소, 칼륨·칼슘 균형 급액.
  • 칼슘 엽면시비는 직접적 살균 효과는 없지만 과피 강화를 통한 2차 피해 억제에 도움.
  • 상처 최소화: 수확 시 꼭지 제거 도구로 생기는 상처에 감염이 입구를 만듭니다.

고추 탄저병 농약 방제 전략 - FRAC 코드 기반 교대

  • 강우 전 예방 살포 - 장마·집중호우 24시간 전을 1순위 타이밍으로.
  • 7-10일 간격, 강우 후 24-48시간 내 보강 살포.
  • 단일 FRAC 연속 2회 이하, 시즌 전체에서 FRAC 11(QoI) 사용 횟수 제한.
  • 멀티사이트(M) 계열과 단일표적계 약제 교대·혼용으로 저항성 압력 완화.

권장 기작군 예시와 대표 유효성분

  • FRAC 3(DMI, 스테롤생합성저해): difenoconazole, tebuconazole, prochloraz
  • FRAC 7(SDHI): boscalid, fluopyram, penthiopyrad
  • FRAC 11(QoI, 스트로빌루린): azoxystrobin, pyraclostrobin, kresoxim-methyl
  • FRAC 1(벤짐계): thiophanate-methyl - 내성 우려 높아 단독 반복 금지
  • FRAC 12(페닐피롤): fludioxonil - 혼합제 형태로 과실 방어에 보강
  • FRAC 9(아닐리노피리미딘): cyprodinil - 저장성 병원균에도 활용
  • FRAC M01(구리제): copper hydroxide, copper oxychloride - 예방력 우수, 상처 보호막
  • FRAC M03(다이티오카바메이트): mancozeb - 멀티사이트, 저항성 관리용
  • FRAC M05(클로로탈로닐): chlorothalonil - 예방력, 내우성 우수
  • FRAC 29(옥사진): fluazinam - 포자 발아 억제, 내우성 보강

※ 실제 사용 전에는 반드시 국내 등록 여부, 품목명, 대상작물·병해, 사용시기·희석배수·살포횟수·안전사용기준(PHI, REI)을 최신 라벨로 확인하십시오. 지역별 등록·적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실전 살포 프로그램 샘플

장마 전후 노지노출 재배 (예시)

  • 1차 - 개화기 전: M03 mancozeb 또는 M05 chlorothalonil로 바탕 예방.
  • 2차 - 개화기 직후: 11 azoxystrobin 또는 7 boscalid 혼합제.
  • 3차 - 첫 착색기: 3 difenoconazole + M01 copper 혼용 또는 교대.
  • 4차 - 장마 전: 7 fluopyram + 11 pyraclostrobin 복합제.
  • 5차 - 장마 중간 보강: M03 또는 M01로 내우성 확보 후, 비 그친 뒤 24-48시간 내 3계열로 교대.
  • 6차 - 수확기 전: PHI 고려해 9/12계열 혼합제 또는 3계열 단독 단회 마감.

시설재배·비가림 재배 (예시)

  • 초기·건전시 포커스: 멀티사이트(M)로 간격 넓게, 강우 예보 시 3·7·11 중 하나로 당겨 살포.
  • 고온과 과습 동시: 7+11 복합제 1회 후, 10일 뒤 3계열로 교대.

※ 샘플은 작형·품종·기상·발병압에 따라 조정하십시오.


살포 품질을 좌우하는 디테일

희석·살포 기술

  • 물량: 노지 관행 500-800 L/ha, 포장 조건·장비에 맞추어 잎 뒷면·과실 표면까지 충분한 도달이 관건.
  • 전착제 사용: 비 전·후 살포 시 흘러내림 방지를 위해 실리콘계 전착제 권장. 구리·유황·유제와의 혼용은 라벨·소량 시험으로 안전성 확인.
  • pH 관리: 많은 DMI·QoI는 pH 5.5-6.5에서 안정. 고알칼리수는 효과 저하 가능 - 완충제 고려.
  • 재살포 타이밍: 강우 20-30mm 이상이면 잔효 저하 - 비 그친 뒤 가급적 24-48시간 내 보강.

안전사용

  • PPE: 장갑·보안경·마스크·방제복 필수.
  • REI(재입식 제한시간)·PHI(수확전 안전사용기한) 준수.
  • 구리제 반복 시 약해 주의 - 고온기·유과기에는 농도·횟수 관리.

생물학적·친환경 보조 수단

  • Bacillus subtilis/B. amyloliquefaciens 기반 제품: 상주 경쟁·항생물질로 포자 발아 억제, 예방 도포 시 유리.
  • Trichoderma harzianum: 토양·잔재물 분해·길항. 정식 전 토양 처리로 포장 위생력 증대.
  • 식초·유황 등 자가제조 희석액은 약해·효과 불안정 - 상용제와 라벨 범위를 우선합니다.

수확·선별·유통 단계의 2차 확산 차단

  • 손상과 최소화: 수확·선별 중 타박상·상처는 증상화 촉진.
  • 건조·통풍: 수확 후 수분 제거, 통기성 포장재 사용.
  • 저온유통: 8-10℃대 관리 시 병 발생 지연. 응결수 방지에 주의.

저항성 관리 - 시즌 운영 원칙 6가지

  1. FRAC 코드 교대 - 같은 코드를 연속 2회 이상 쓰지 않기.
  2. QoI(11)·SDHI(7)는 시즌 사용 총횟수 제한.
  3. 단일표적계는 멀티사이트(M)와 혼합 또는 근접 교대.
  4. 라벨 권장 최대 살포 횟수 초과 금지.
  5. 부분적 발병 시, 병든 구역만 ‘과잉 살포’하지 말고 구역 격리·제거를 병행.
  6. 시즌 종료 후 잔재물 완전 제거로 다음해의 기본 감염원을 차단.

지역·작형별 체크리스트

노지·장마 영향권

  • 강우 예보 24시간 전 살포 계획표 의무화.
  • 배수로·두둑 정비 주 1회.
  • 낙과 즉시 제거 - 비 후 24시간 이내.

시설하우스

  • 야간 결로 차단: 환기창·측창 개폐 스케줄 마련.
  • 하우스 내 통로 부직포·멀칭으로 포자 튀김 억제.
  • 방제 후 2-3시간 내 고온 밀폐 금지 - 약해 예방.

흔한 실수 7가지와 교정 팁

  • 강우 ‘후’에만 약 치기 → 강우 ‘전’ 예방 살포로 전환.
  • 같은 약제 시즌 내 3회 이상 반복 → FRAC 교대표 작성.
  • 전착제 생략 → 내우성 저하, 효과 반감.
  • 과밀 식재·무유인 → 통풍 저하, 수막 지속 증가.
  • 병든 과실 방치 → 포자 공장, 반드시 수거·반출.
  • 라벨 미확인 혼용 → 약해·효과 상쇄 위험, 소량 혼용 시험 후 확대.
  • pH 무관심 → 효과 편차, 수질 보정.

품종·종자 단계에서의 선제 대응

  • 내병성·내흑반성 언급 품종 선택 시 초기 발병률 감소.
  • 종자 소독: 상용 소독제 처리 또는 온탕소독(예: 52-55℃ 20-30분)은 씨앗 표면 병원균 저감에 유효. 단, 발아력 저하 위험이 있어 사전 소량 테스트 권장.

고추 기본 정보 - 생물학적 분류

  • 계: 식물계 Plantae
  • 문: 피자식물문 Angiosperms
  • 강: 쌍자엽식물강 Eudicots
  • 목: 가지목 Solanales
  • 과: 가지과 Solanaceae
  • 속: 고추속 Capsicum
  • 종: 고추 Capsicum annuum

현장 운영을 위한 간단 실행 플랜

  • 주간 루틴
    • 월: 기상예보 확인, 살포 계획 업데이트.
    • 화: 통풍·유인·적엽으로 수막시간 단축.
    • 수: 배수로 점검, 낙과 수거.
    • 목: 예방 살포 또는 보강 살포.
    • 금: 장비 점검·세척, 물 pH 측정·보정.
  • 장비 체크리스트
    • 노즐 마모·분사각 확인, 압력계 교정, 물량 캘리브레이션, 전착제 재고.
  • 기록 관리
    • 살포일지: 날짜-약제명-희석배수-FRAC코드-PHI-강우량을 표준화 기록.

최종 점검 - 출하기 맞춤 체크

  • PHI 내 준수 여부 확인.
  • 과실 표면 상처·미세병반 선별 제거.
  • 출하 전 24시간 내 과습 환경 노출 금지.

반응형